새로운 봄을 알리는 절기, 입춘(立春)!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겨울을 지나 따뜻한 봄이 찾아오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입춘을 맞아 좋은 기운을 집으로 들이기 위해 문 앞에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는 입춘방(立春榜)을 붙이는 풍습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구들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는 무엇일까요?
입춘대길(立春大吉)의 뜻
"입춘대길(立春大吉)"은 ‘입춘을 맞이하여 큰 길운이 깃든다’는 의미를 지닌 문구입니다.
‘立(설 립)’은 ‘서다’, ‘春(봄 춘)’은 ‘봄’, ‘大(클 대)’는 ‘크다’, ‘吉(길할 길)’은 ‘길하다’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즉, 새해 첫 절기인 입춘을 맞아 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과거 조선 시대에는 왕이 직접 입춘첩을 써서 신하들에게 하사하거나 궁궐 내 여러 장소에 붙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일부 가정에서는 대문이나 현관에 입춘대길 문구를 써 붙이며 한 해의 복을 기원합니다.
건양다경(建陽多慶)의 뜻
"건양다경(建陽多慶)"은 ‘밝은 기운이 깃들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建(세울 건)’은 ‘세우다’, ‘陽(볕 양)’은 ‘태양, 밝은 기운’, ‘多(많을 다)’는 ‘많다’, ‘慶(경사 경)’은 ‘경사’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따뜻한 기운이 퍼지고 집안에 좋은 일들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문구입니다.
이 문구 역시 예로부터 왕실과 양반 가정에서 즐겨 사용되었으며, 입춘이 되면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써 붙이며 복을 기원하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입춘방을 붙이는 방법과 풍습
입춘방(立春榜)은 대문, 현관문, 기둥 등에 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한지를 사용하여 붓글씨로 직접 쓰거나, 인쇄된 글귀를 구매하여 붙이기도 합니다.
입춘방을 붙이는 시간도 중요한데, 입춘 당일(보통 양력 2월 3~4일경) 오전에 붙이는 것이 가장 좋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새로운 봄 기운을 가장 먼저 맞이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입춘날 입춘첩을 태우거나, 떡국을 먹으며 복을 기원하는 풍습도 있습니다.
입춘과 관련된 또 다른 풍습
입춘맞이 나들이: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들판이나 산을 걸으며 봄기운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건강과 기운을 북돋는 의미가 있습니다.
입춘절식: 입춘날에는 봄나물이나 떡국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금줄 걸기: 일부 지역에서는 입춘날 금줄을 걸어 액운을 막고 복을 부르는 풍습이 있습니다.
새봄을 맞이하며
입춘대길과 건양다경이라는 문구에는 단순한 글귀 이상의 깊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전통을 통해 한 해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겠죠?
올 입춘에는 대문 앞에 입춘방을 붙이며 따뜻한 봄날을 맞이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새로운 봄, 좋은 기운 가득한 한 해 보내세요!